오늘의 스케치 마음밑돌 대표 신은경
우리는 즉각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버리려고 한다. 문제를 분석해 볼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불안감을 견뎌 내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시간을 들이려고 하지 않을 뿐, 처음부터 해박한 사람도, 무능한 사람도 없다.
일상 이야기(essay) 마음밑돌 대표 신은경
가을의 마지막 절기인 상강이 지나고 나니, 뜨거운 가마솥밥이 먹고 싶더라고요~ 동양철학 하는 선생님과 시래기 국밥집을 찾았는데요. 4.19탑 근처에 라는 식당에 들렀는데~ 주문한 소불고기 가마솥밥 시래기가 질기지 않고 촉촉해서 맛있더라고요. 강추! 다시 오게 될 것 같습니다. 함께 주문한 해물파전도 겉은 바삭하고 속은 고소해서 금방 비워냈고요. 볶은 김치의 아삭함이 느껴지는 메밀전병도 다시 먹고 싶어지네요 :) 아무튼 맛집 이야기는 그만하고, 오늘은 교운기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싶네요. 교운기라는 말이 생소할 수도 있는데, 운이 바뀌기 전에 지나가는 기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계절이 바뀌듯이 사람마다 대운의 흐름이 바뀌는 시기가 있는데, 보통 10년 단위로 변화합니다. 교운기란 대운이 변화하기 전의 예비..
마음돋보기 마음밑돌 대표 신은경
예전에 이란 칼럼을 맡았을 때, 유독 기억에 남는 대표님이 있습니다. 리더십에 대해 물으니 보통 대표분들과는 다르게 굉장히 현실적이고 진정성 있는 답변을 하더라고요. 그 분 말씀이 그동안 여러 고비를 넘기면서 인프라를 구축해 놓으면 함께 일했던 사람이 핵심기술을 가져가 자기 사업화하거나, 개발 중이던 아이디어를 다른 회사로 옮겨가서 변형한 다음 특허 내는 사례들도 있었는데요. 이런저런 배신을 겪으면서 사람을 안 믿게 되었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사람을 믿지 못하니까 제대로 일을 맡길 수 없고, 본인이 다 하려고 하니까 외려 꼬여 버리는 일이 생기면서 스스로를 다시금 돌아보게 되었는데요. 그러면서 그때 하던 말씀이 “예전에는 어떻게 저럴 수 있을까? 실망이다. 충격이다. 그랬는데, 어느 날 문득 기대한다는..
단순히 운이나 타인의 도움에 의한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라, 스스로를 일으켜 세우고 잘 보살피는 이러한 마음의 태도 앞으로도 어떤 상황에서도 소중한 것과 연결되어 있다는 믿음
자기 안에 있는 힘을 믿고 쓰지 못하면 남의 크레파스를 쓰고 싶어 한다. 그것으로 내 그림 한 장 그려내지 못하면서.
어제는 막차를 타고 오는데, 맞은편에 앉은 사람들이 모두 고개를 숙인 채, 휴대폰으로 무언가를 들여다보고 있더라고요. 아마도 그분들 중의 하나가 저인 적도 많았을 겁니다. 저도 딱히 할 일이 없을 땐 무의식 중에 휴대폰을 들여다보는데요. 물론 유용한 정보나 소통을 위해 사용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 지금 이 순간, 당면한 공백이 버거워서 SNS로 흘러들어간 적이 많았던 것 같아요. 바이서(Beisser)는 요즘 현대인들은 ‘공백’을 세상에서 제일 두려워한다고 말하는데요. 그래서 사람들은 공백 상태를 피하기 위해 계속 잡담을 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과도한 흡연을 하거나 끊임없이 어떤 외적인 행동으로 달아나길 원한다고요. 사실 사람은 면 대 면으로 직접 만났을 때 뇌에서 옥신토신이 분비되어 안정감이 생..
그간 (클릭☞) 상실의 아픔을 치유하는 애도의 단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펫로스보다는 죽음, 상실, 사별, 이별로 검색하고 오시는 분들이 많아서 보편적인 상실감을 느낄 때, 유의해야 될 점, 그리고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점에 대해 나누어 볼게요. 1. 일상 복귀 속도가 느려도 허용하고, 기다려주기 고인을 떠나보내거나, 사랑하는 존재와 헤어진 뒤에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 마치 몸에 무거운 추가 하나 매달린 것처럼 능률이 떨어지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업무에 복귀하더라도 예전과는 달리 업무 속도가 떨어진다거나, 의욕이 나지 않더라도 채근하기보다는 그런 나를 허용하고 기다려 주세요. 간혹 몸이 아프기도 한데, 스트레스로 인한 저항 능력이 떨어진 상태이니 입맛이 없어도 영양가 있는 음식을 챙겨 먹고 스스..
(클릭☞)상실의 아픔을 치유하는 애도의 단계에 대해 알아보면서 신기한 점이, 마음이란 건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상실된 존재를 향한 그리움과 슬픔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가, 그것이 형성될 만한 조건들(상실된 존재를 떠올리게 하는 조건들)과 만나면 다시 맺히는 거죠. 어쩌면 애도의 단계는 이런 반복이 거듭되다가 점차 그 빈도가 엷어지는 과정인지도 모릅니다... 상실된 소식을 처음 접했을 때, 1. 충격을 받고 부정하다가, 2. 분노하고, 슬퍼하다가... 3. 상실된 존재에 대한 그리움과 갈망, 4. 혼란과 절망의 단계를 지나면 비로소 이 모든 걸 받아들이는 수용의 단계에 이르는데요. 남은 단계에 대해 알아볼게요. 5. 수용의 단계 수용의 단계에서는 사랑하는 존재가 떠났다는 걸 이제 마음으로 받아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