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은 망쳐버린 도화지 같아서 돌이킬 수 없다고 믿는 내담자에게 “당신이 생생하게 살아 있을 때가 언제였나?”라는 질문을 하면, 표정부터 달라집니다. 아주 소소한 것일지라도 그때의 나를 만나면 온전했던 지점, 좀 더 할 수 있는 지점, 예외적인 지점을 탐색하게 되니까요.
힘들었지만 이때 행복했고, 이런 일이 참 다행이었던 지점을 포착하기 시작하면 어떤 패턴을 발견할 수 있는데, 결국 사람은 누가 시켜서 억지로 그것을 할 때가 아니라 자기가 신이 나서 그것을 할 때, 자기 주체성을 가질 때 그것이 의미 있었다는 것을 통찰해 낼 수 있습니다.
솔직히 라면 하나를 끓여도 누가 시켜서 끓일 때보다는 본인이 끓이고 싶어서 끓인 라면이 맛있지 않나요? 이쯤에서 그만 놀고 공부하려고 했는데 누군가 “공부해!!” 이러면 더 하기 싫어지는 건 자기 자율성이 제한받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직장 생활할 때부터 (클릭 ☞) 내재적 자율성(내재적 동기)에 관심이 많았는데요.
솔직히 조직에서 자율성을 발휘한다는 건 마술과도 같은 일이죠. 무엇보다 자율성이 무조건 생산성에 기여하는 것만도 아닙니다. 개인의 성향에 따라서 어떤 사람은 자율성이 주어졌을 때, 더 신이 나서 일하는가 하면 의존성이 높은 사람인 경우엔 오히려 자율성이 일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람은 자율성이 주어졌을 때 주관적인 행복도가 높아졌으며, 의존적인 사람의 경우에도 어떤 통제를 주되, 그 통제의 범위 내에서는 자기 자율성이 주어질 때 일의 능률이 올랐다는 걸 이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Heidemeier, H., & Wiese, B. S. 2014).
제가 가을에 만난 내담자가 있는데요. “위에서는 자꾸 사과를 열 개 깎으라고 한다. 내 능력은 일곱 개인데... 아무리 더는 못 깎는다고 말해도, 일단 해 봐라... 이런 식의 피드백이 온다.”라며 힘들어했습니다.
이렇게 자율성이 제한된 상황에서는 능동적으로 움직일 동기가 잘 안 생깁니다.
제가 잡지를 만들 때, 한 디자이너가 있었는데요. 이 친구가 참 똘똘했습니다. 대표 편집장이 디자이너가 잡지 시안을 만들어서 보여 주면 “A도 싫다, B도 싫다, C도 싫다, 다시 찾아 봐.”라고 고개를 내저었죠.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화가 나죠. 나름 열심히 찾아서 시안을 보였는데 다 싫다고 하니 일할 맛이 안 납니다. “어차피 난 자율성이 없으니 대충대충 할래요.” 이런 마인드로 일하는 디자이너가 솔직히 대부분이었는데요.
이 친구는 대표가 좋아하는 스타일,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일, 대표와 자기 사이에서 합의를 볼 수 있는 적절한 지점의 표지 시안을 찾아 놓은 다음에, 그걸 다시 퀄리티 면에서 上, 中, 下로 만들어 대표에게 下부터 순차적으로 보여 줍니다. ㅎㅎ 대표가 “다시 찾아.”라고 하면 中을 보여주고, 그 다음엔 上을 보여주는 거죠.
그 친구를 보면서 느낀 게 “어차피 나한테는 자율성이 없으니까 하나 얻어 걸려라.”라고 대충 찾아주며 노동력을 낭비하는 디자이너보다 자기 나름의 자율성을 갖고 융통성 있게 발휘하는 모습이 기억에 남더라고요. 이 친구가 회사 생활을 다른 디자이너보다 오래하고 나름 신나게 다닌 게 이런 자기만의 소소한 자율성, 자기 주체성에 있지 않았나 싶더라고요.
사실 저도 잡지사 다닐 때 인터뷰 기사를 2개씩 쓴 적도 있습니다. 하나는 잡지의 방향성에 맞는 잡지용 기사로, 또 하나는 개인 소장용으로 남겨 두었는데요. 잡지에는 담을 수 없지만 개인적으로 궁금한 지점들을 물어 담은 기사는 지금 읽어봐도 재밌습니다.
매너리즘에 빠졌을 때, 저는 이렇게 기사를 개인소장용 하나, 매체용으로 따로 쓰면서 나름 자율성을 발휘했고, 그러면서 인터뷰하는 게 점점 재밌어지더라고요.
빛이 나는 사람들을 보면 직업의 귀천을 떠나서 자기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많습니다. 작년 명절에 총장님(팔순 된 여성 분인데, 젊은 제자들과 교류하는 걸 즐깁니다.) 댁에 갔었는데, 저는 이 댁의 입주 도우미 아주머니가 참 멋있었습니다. 할 일을 깔끔하게 끝낸 다음엔 “나 놀다 오겠다.”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모습, “이건 몸에 안 좋으니 드시지 말라.”며 당당하게 조언하는 모습에서 ‘저 분은 자기 주체성을 가진 분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도대체 저런 당당함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궁금해졌는데 몇 번 만나게 되면서 이 분이 연변에서 왔는데, 어렸을 때 없는 살림에도 엄마가 엄청 당신을 사랑해 주었다는 것, 그리고 총장님에게 미운 정, 고운 정이 들었다는 걸 느꼈습니다. 솔직히 주는 월급만 받고 주어진 일만 할 수 있는데도 “단 거는 몸에 안 좋으니 고만 드시라.” 등등 이런저런 염려와 충고가 있다는 건 상대에 대한 사랑 없이는 나오지 않는 거죠.
아무튼 자율성과 주체성의 기반은 세 가지 덕목이 기반이 되어 나오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첫째는 부모와의 건강한 애착관계(정신적으로 충분히 엄마 젖을 먹었을 때 나오는 자존감). 아무래도 부모와 건강한 애착 관계를 경험한 사람들은 성인이 되어도 자기 삶의 핸들을 쥐고 사는 경향성이 높습니다.
둘째는 자기 자신과 상대에 대한 사랑. 위에서 아무리 어쩌고 저쩌고 해도 내가 나를 사랑하고, 상대를 조금이라도 사랑하는 마음이 있으면 “어떻게 하면 나도 살리고, 상대도 윈윈할 수 있는 지점을 찾을 수 있지?”라며 서로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생산성을 높이는 대안을 찾게 되죠.
셋째는 어느 정도 꾀도 필요합니다. 적절한 일의 범위를 파악하고, 그 범위 내에서 융통성을 발휘하는 거죠. 위에는 “네, 네.” 하더라도 자기 나름의 선을 정하고 그 선 안에서는 자율성을 발휘하는 유연성 말입니다. 똘똘했던 그 디자이너처럼요.
칼 융은 사람이 정신적으로 무너지는 이유를 ‘자율성의 침해’에서 찾았습니다. 자기 삶의 핸들을 남에게 다 넘겨주면 그 핸들을 쥔 사람에게 맞추려고 온 신경을 다 쓰기 때문에 자아는 없어지고 정신이 병 든다는 거죠. 그러니 우리 삶에 자율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여실히 느끼게 됩니다.
사람이 생기 있어지려면, 또 어떤 게 필요할까요? 고건 다음 시간에 이어서 써 볼게요 :)
저작물에 대한 링크는 허용하나, 무단 복사 및 도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by persket.com All rights reserved
'마음돋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분화] 전체를 만난 게 아니니까 (1) (0) | 2018.03.07 |
---|---|
[저항=마음의 탄력] 사람이 생기 있을 땐 언제일까? (3) (0) | 2018.02.18 |
[강점에 집중할 때] 사람이 생기 있을 땐 언제일까? (1) (0) | 2018.01.28 |
[인간관] 사람은 경향성에 휘둘릴 수 있으나, 고정되어 있지 않다. (0) | 2018.01.22 |
[회복탄력성] 결핍에서 재능이 나온다 (0) | 2018.01.14 |
이 글을 공유하기